식중독은 주로 음식물 섭취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는 질병으로, 특히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식중독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균의 증식 환경과 특정 음식의 특성 때문에 더 자주 일어납니다.
식중독 발생 현황
식중독 환자는 주로 7월과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2021년과 2020년에는 7월에 각각 1307명, 688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2014년 5월에 1548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8월(1429명)8월(1429명) 보다 많았습니다.
이는 쌀쌀한 일교차 때문에 그렇습니다.
대표적인 식중독균과 위험 요인
살모넬라균은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 30~37도에서 가장 활발히 증식하지만 4도에서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낮 기온이 20도를 넘는 시기에 장시간 방치된 음식을 섭취하면 감염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식중독에 잘 걸리는 음식
1. 새싹 채소
새싹 채소는 샐러드나 비빔밥에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입니다.
무순, 유채싹 등은 발아 후 1주일 이내에 수확되며, 습하고 따뜻한 곳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식중독균에 쉽게 노출됩니다. 또한, 농약이 사용되지 않아 세균 번식이 활발합니다.
살모넬라균이나 대장균에 의해 대규모 식중독을 일으킨 사례도 있습니다.
새싹 채소는 보관기한이 3일 정도로, 변색되거나 검은 반점이 생긴 것은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2. 어패류
어패류는 겨울철엔 노로바이러스, 그 외 시기에는 장염비브리오균이 주로 문제를 일으킵니다.
장염비브리오균은 바닷물에서 서식하며, 생선, 조개, 오징어 등의 표피, 아가미, 내장 등에 부착되어 식중독을 유발합니다. 바닷물 온도가 15도 이상이 되면 증식을 시작하며, 20~37도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합니다.
어패류는 반드시 70도에서 15분 이상 익혀서 섭취해야 합니다.
3. 김밥
김밥은 여러 식재료가 섞여 있는 특성 때문에 식중독의 주범으로 꼽힙니다.
재료 하나만 오염되어도 전체가 오염될 수 있으며, 교차 오염도 쉽게 발생합니다.
김밥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위생장갑, 김밥발 등은 자주 세척되지 않으면 식중독균의 번식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김밥과 비슷한 환경에서 제조되는 샌드위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끓여서 먹지 않기 때문에 빨리 섭취하고, 냉장 보관 시 12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식중독균을 예방하는 조리법
1. 온도
식중독균은 높은 온도에서 죽기 때문에, 음식의 내부 온도가 충분히 높아지도록 조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기류: 닭고기등은 내부 온도가 최소 75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돼지고기와 소고기는 내부 온도가 70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어패류: 어패류는 내부 온도가 최소 65도 이상이 되어야 안전합니다.
계란 요리: 계란은 완전히 익혀서, 흰자와 노른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조리합니다.
2. 가열
균이 모든 부분에서 제거되도록 음식의 모든 면을 가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전자레인지로 조리할 경우, 중간에 한 번 섞어주거나 뒤집어 주어 고르게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3. 끓이는 방법
끓이는 것은 식중독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국물 요리, 찌개 등을 끓일 때는 내용물이 고르게 끓는 상태를 1분 이상 유지합니다.
4. 해동
해동 과정에서 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에서 서서히 해동하거나 전자레인지의 해동 기능을 사용합니다.
상온에서 해동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6. 식재료별로 도마와 칼 구분하기
고기, 생선, 채소를 각각 다른 도마와 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고기나 생선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비누와 물로 손을 씻고 사용한 조리기구는 즉시 세척하여 교차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수화물 고단백질 식단이 암을 예방한다 (52) | 2024.06.13 |
---|---|
살모넬라균을 예방하고 신선하게 계란을 보관하는 방법 (70) | 2024.06.01 |
치매위험을 높이는 브레인포그 자가진단,원인,예방법 (78) | 2024.05.02 |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 예약방법 / 비용 총 정리 (올해 짝수연도 출생 대상자 ) (90) | 2024.04.30 |
고혈압 증상 예방과 건강한 식단 (64) | 2024.03.05 |